정말 기초적인 geth 명령어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에 데이터 저장하기

 

                    

 

 

앞선 포스팅의 내용을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사실 이전 포스팅에 있는

 

coinbase 계정을 다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네 

 

낚이셨습니다.

 

성격이 급하신 분들은 급하신 대로 이 글을 보시고 편하게 하실겁니다.

 

geth 에서는 위와같이 아주 편리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eth.accounts[0]은 첫번째로 생성된 account를 나타내주고

 

eth.coinbase는 coinbase 계정, 즉 첫번째로 생성된 account를 나타내 줍니다.

 

 

 

 

 

4. 트랜잭션 발생하기( 보내기 )

 

 

 

이제 돈이 충분한 것을 알게 되었으니 

 

간단한 트랜잭션을 발생 해 보겠습니다.

 

 

eth.sendTransaction({

from:eth.accounts[0],

to:eth.accounts[1],

value:'10000000000'

})

 

 

 

ether로 보내고 싶으신 분들은

 

eth.sendTransaction({

from:eth.accounts[0],

to:eth.accounts[1],

value: web3.toWei(1, "ether")

})

 

* gas를 따로 기입해주셔도 되는데 

 

기입을 따로 하지 않을시, 자동으로 gas가 소모됩니다.

 

 

 

 

 

 

위 명령을 통해 트랜잭션을 발생하여 

 

eth.accounts[0] 즉, coinbase 계정에서 

 

eth.accounts[1] 계정으로 

 

10000000000 Wei

 

혹은

 

1 Ether

 

만큼의 balance값을 전송해 줍니다.

 

 

 

 

 

 

 

 

 

 

 

그리고 eth.accounts[1] 계정의 balance값을 확인해 보시면,

 

 

네, 없습니다.

 

아직 트랜잭션 풀에만 등록이 되었고 

 

채굴을 통해 배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이 eth.pendingTransactions를 사용해

 

트랜잭션 풀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잭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채굴을 통해 

 

저 트랜잭션 풀에 위치한 트랜잭션을 채굴 해 봅시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dev 옵션으로 인해 정말 빠른속도로 채굴이 됩니다.

 

--dev옵션 없이 채굴을 진행하시면 몇분이 몇십분이 걸린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채굴을 통해 트랜잭션 풀에 위치해 있던 트랜잭션을

 

채굴해 내어 eth.pendingTransactions를 통해 확인하시면 

 

[ ] 를 확인하여 채굴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거래가 성사되고 (트랜잭션이 발생하고 이 트랜잭션이 채굴 되고)

 

accounts[1] 계정의 balance를 확인해 보시면

 

 

 

정확히 보낸 값인 10000000000이 보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원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이제 원하는 데이터(문자)를 트랜잭션에 실어 

 

전송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ata 변수에 저장할 문자를 저장합니다.

 

* 굳이 이렇게 저장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뒤, eth.sendTransaction({}) 함수 안의 data에 

 

저장 할 문자를 입력 해 주고 채굴을 해줍니다.

 

직접 기입을 원하시는 분들은

 

  data : "datadatadata" 이렇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from만 존재해도 transaction은 전송이 됩니다.

 

 

 

 

 

 

 

 

방금 채굴된 트랜잭션의 정보를 확인해 봅시다.

 

먼저 eth.blockNumber로 현재 채굴된 블록의 갯수를 알아봅시다.

 

 

 

아마 저처럼 진행 하셨으면 2개의 블록이 채굴 되었을 겁니다.

 

 

 

 

 

 

그리고 이 블록의 정보를 보시면,

 

 

위와 같은 2번 블록의 정보를 상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이시는 값중에

 

gasUsed : 90000     // 이 블록을 채굴 시 90000의 가스가 소모 되었다.

 

number : 2            // 2번째로 채굴된 블록이다.

 

transactions : [ ~ ]  // 이 블록안에 있는 트랜잭션들은 ~ 이 있다.

 

등의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몇번째 블록에 원하는 트랜잭션 존재하는지 알아 냈으니,

 

이제 트랜잭션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보겠습니다.

 

 

 

 

eth.getTransactionFromBlock( )을 사용해 

 

원하는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해당 블록의 숫자를 입력해 줍니다.

 

그리고

 

input 칸을 보시면

 

저희가 방금 전 넣었던 값인 

 

0xaaaaaaa~ 00000이 보이는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좀 더 깔끔하게 보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위와같이 

 

eth.getTransactionFromBlock( ).input 을 사용하셔서

 

input 값만을 추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정보들도 뒤에 .@ 로 사용하셔서 

 

추출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로써 제가 콘솔 창에서 사용했던 웬만한 

 

"간단한" 명령어들을 함께 확인해 보았습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서는 

 

멀티노드 구성을 하여 

 

여러 컴퓨터(virtual box)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eb3js.readthedocs.io/en/1.0/web3-eth.html 

 

위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원문으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말 기초적인 geth 명령어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에 데이터 저장하기

 

 

                     

 

 

 

 

이번에는 geth 블록체인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간단한 명령어들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2020/08/30 - [IT/블록체인] - geth | Part_2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이더리움 블록체인 구성하기)

에서 geth 구축까지 완료 하였는데요

 

이전 포스팅과 이어서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더리움의 정말 간단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트랜잭션(거래) 발생 -> 트랜잭션 풀에 담음 -> 채굴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

 

 

 

 

 

 

그리고 이 간단한 동작 과정을 

 

간단한 명령어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가 geth를 설치하여 구동 해보며 받아들인 생각이니

 

  전문적인 지식은 전문적인 블로그에서 습득하시는것을 권장합니다.

 

 

 

 

 

 

먼저, 트랜잭션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gas" 라는 일종의 "수수료"가 필요합니다.

 

비트코인의 수수료 개념과는 다른 좀 더 업그레이드 된 개념이나,

 

저희는 그냥 "수수료"라고 생각을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 수수료 제도가 생긴 이유는 악의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무한한 양의 트랜잭션을 발생 시켜 마비시키는 등

 

공격을 감행 할 때, 이를 방지하기위해  트랜잭션을 발생 할 때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합니다.

 

 

 

 

 

이 gas라는 것은 "채굴"을 통해 얻을수 있는데, 

 

채굴을 하기위해선 채굴을 통해 지급받을 계정이 필요한데

 

이 계정을 etherbase 계정 이라고 합니다.

 

 

 

 

우선 

 

etherbase를 생성해주고

 

이를 통해 채굴을 한 뒤,

 

다른 계정으로 트랜잭션을 발생해 balance(돈)을 보내고

 

트랜잭션 안에 원하는 데이터(문자)를 저장해봅시다.

 

 

 

 

 

 

1. etherbase 생성

 

 

 

personal.newAccount() 함수를 통해 새로운 계정을 생성해 줍니다.

 

뒤에 나오는 passPhrase는 일종의 비밀번호와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 생성된 계정(Account)은 자동적으로 Etherbase가 되며

 

eth.coinbase()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생성된 Etherbase로 채굴 하기

 

 

 

채굴은 광부가 하는겁니다.

 

네, 광부가 채굴을 합시다

 

고로 명령어는 miner.start()로 가능합니다.

 

miner.start( )에서 ( ) 괄호 안에 숫자를 입력해 스레드 수를 지정 할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null이 뜬다고 해서 에러가 아니라 잘 실행되는 겁니다.

 

 

 

 

 

 

그래도 미심쩍다.

 

나는 의심이 많은 사람이다 !!

 

나는 이걸 두 눈으로 꼭 확인 해 봐야겠다 !!

 

eth.mining을 입력하여 현재 채굴중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3. etherbase 계정의 Balance(Wei) 확인하기

 

 

 

저희는 geth를 실행 할 때,

 

--dev 라는 옵션을 주었습니다.

 

개발을 위한 옵션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이 때문에 마이닝을 할 필요없이

 

balance가 엄청나게 주어져서

 

채굴을 하지 않으셔도 balance를 확인 하시면 

 

많은 돈이 들어와있다는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dev옵션 때문에 채굴을 굳이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balance의 기본 값은 ether가 아닌 Wei 인데,

 

1 Wei = 0.000000000000000001 Ether

 

즉, 1000000000000000000Wei = 1 Ether 로써

 

엄청 많아 보이는데 계산하기 귀찮으니

 

숫자는 커 보이나 ether로써는 작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 마이닝을 중단하고 

 

현재 얼마나 많은 양의 ""이 들어와 있는지

 

확인 하도록 하겠습니다.

 

 

miner.stop( )으로 마이닝을 중단 한 뒤,

 

eth.accounts를 실행하는데 

 

이는 현재 생성된 계정들의 목록을 모두 나타내 주게 됩니다.

 

아마 여러분들은 personal.newAccount()를 한번만 해 주셔서

 

하나의 계정만이 존재 할 겁니다.

 

 

 

 

추후에 트랜잭션의 전송을 위해 다른 계정을 하나 더 만들어 놓도록 합시다.

 

그리고 eth.getBalance("etherbase 계정")을 입력해서

 

마이닝을 하여 얻은 돈을 확인해봅시다.

 

* etherbase account를 적을 때 토씨 하나 틀리지 않게 

 

조심해서 작성해 주시고 아래로 내려 진행을 합시다.

 

 

 

 

 

 

 

 

나머지 부분은 다음 파트에 

 

이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eb3js.readthedocs.io/en/1.0/web3-eth.html 

 

위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원문으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eth ( go - ethereum ) 

프라이빗 블록체인 멀티노드 구성

 

            

 

 

 

 

go언어를 기반으로 한 ethereum 블록체인인 geth를 구축하겠습니다.

 

제가 공모전에서 사용한 OS는 (Ubuntu 16.04 / MAC _ high sierra 10.13.5 ) 이고

 

현재 구축하면서 사용할 OS는 Virtualbox에서 돌리는 Ubuntu 16.04 입니다.

 

 

 

 

 

빠르게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geth설치

 

    1) https://github.com/ethereum/go-ethereum

        - 이 링크로 접속하여 소스코드를 다운받아 압축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풀어줍니다.

       

 

     2) git clone https://github.com/ethereum/go-ethereum.git

- 혹은 터미널 창에 이 명령어를 통해 geth를 다운받습니다.

        

          * home 디렉토리 ( cd ~/ ) 에 다운받는것을 권장드립니다.

 

        * 혹시 git이 깔려 있지 않다면 sudo apt install git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 또한 에러 발생 시, sudo apt-get update를 통해 업데이트를 하시면 될겁니다.

 

 

 

 

 

 

 

 

 

 

 

 

2. go언어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1) wget https://storage.googleapis.com/golang/go1.10.1.linux-amd64.tar.gz

        - 터미널에 입력하여 go 1.10.1 압축파일을 깔아줍니다 ( linux버전 입니다. )

 

       * 1.9.2 버전을 깔았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에러가 떠서 버전을 바꿉니다.

 

 

 

 

 

     2) sudo tar -C /usr/local -xzf go1.10.1.linux-amd64.tar.gz 

     - 터미널에 입력해 압축파일을 /usr/local에 풀어줍니다.

      * sudo는 관리자 권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처음 실행시, 패스워드를 입력해라 하는데

        이전 포스트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3) sudo nano /etc/profile 

       - 터미널에 입력해 환경변수 설정을 위해 /etc/profile에 들어갑니다.

          * 꼭 sudo를 적어 관리자권한으로 접근을 해야 합니다.

 

 

 

 

 

 

     4) 제일 아랫줄에 

        export PATH=$PATH:/usr/local/go/bin            // go 경로 설정

        위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그후 ctrl + x , y , 엔터키를 차례로 눌러 저장을 합니다.

 

      

 

 

 

 

 

     5) go version을 터미널에 입력해 버전 확인을 합니다.

        * 만약 go를 깔아라는 에러 메세지가 뜬다면

          터미널에 바로 5)번의 명령어(export PATH ~~ )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1.10.1 버전의 go가 깔린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go-ethereum 설치 및 환경구축

 

 

 

     1) cd go-ethereum 

         - go-ethereum으로 이동합니다.

 

 

 

 

 

 

     2) make geth

         - 본격적인 geth 설치를 합니다.

         * 그 전에 먼저 sudo apt-get install make를 통해 make를 깔아줍시다 

         * 오류가 뜬다면 gcc 문제 일 수도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gcc 를 통해 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오류없이 진행 된다면 위와같은 창들이 뜨는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3) 위 터미널 창의 마지막 줄에 보이시는 

        /home/ubuntu/go-ethereum/build/bin/ 경로로 이동합니다.

       (cd /home/ubuntu/go-ethereum/build/bin)

        * 다를수도 있습니다.

 

       ./geth version 을 통해 설치된 geth 버전을 확인합니다.

 

 

 

 

 

 

 

 

     5)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kdir private-blockchain

        *private-blockchain 말고 자신이 원하는 디렉토리 명을 하시면 됩니다.

 

 

 

 

 

     6) 제네시스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nano genesis.json                

        (저는 vim 편집기를 사용해 vim genesis.json을 했습니다.)

 

        * 글씨 1자도 틀리지않게 조심해서 작성해 주세요

{ "config": { "chainId": 15, "homesteadBlock": 0, "eip155Block": 0, "eip158Block": 0 }, "difficulty": "200000000", "gasLimit": "2100000", "alloc": { } }

 

 

 

 

 

4. go-ethereum 설치 및 환경구축

 

     1) ./geth --datadir "private-blockchain" --networkid 15 --dev console

        위 명령어를 통해 geth private 블록체인 단일노드가 생성되었습니다.

 

 

 

 

 

 

 

뒤의 포스팅에는 geth 명령어와 멀티노드의 구성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클릭밖에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윈도우에서 리눅스 실행하기

 

 

 

리눅스 OS에서 geth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O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OS를 삭제하고 리눅스 OS를 새로 설치하거나

 

멀티부팅을 사용해서 두가지 OS를 사용하는 방법,

 

이 방법 말고 윈도우에서 가상의 컴퓨터를 하나 만들어 리눅스 OS를 설치하여

 

리눅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희는 가상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리눅스를 설치하겠습니다.

 

 

 

 

위 사진에 적혀있는 Oracle사의 Virtualbox 라는 도구를 사용할겁니다.

 

 

 

 

 

1) https://www.virtualbox.org 로 접속을 하여 먼저 virtualbox를 설치합니다.

 

 

 

 

 

 

2. http://releases.ubuntu.com/16.04 로 접속을 하여 iso파일을 설치합니다.

 

desktop   = GUI         /        server     = terminal

amd64    = 64bit        /        i386       = 32bit

 

저는 server-amd64.iso를 설치했습니다.

 

 

 

 

 

 

 

 

3. virtualbox를 실행해 줍니다.

 

 

 

1) 새로만들기

2) 이름 : 만들 컴퓨터의 이름 (아무거나 상관 없습니다)

3) 종류 : linux 

4) 버전 : ubuntu (64-bit)      

    * 만약 iso파일을 i386으로 설치 하였을 시, ubuntu (32-bit)로 해주셔야 합니다.

 

계~속 다음을 눌러 주면 이와같이 생성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더블클릭하여 실행 합니다.

 

 

그 후 동그라미 친 폴더 그림을 클릭하여 ubuntu-*.iso 파일을 선택하고

 

시작을 눌러줍니다.

 

 

 

 

     5. 아래와 같은 창이 뜰텐데 이제부터 빠르게 말로 하며 넘어가겠습니다.

         * 빨간글씨만 보셔도 무방합니다.

 

 

 

 

 

위의 창 부터 시작

 

 

 

English 

Install Ubuntu Server

English - English

United States             --> 나중에 자동으로 한국을 잡아줍니다.

No

English (US)

English (US)

 

 

 

 

여기까지 하면 아마 이러한 로딩창이 뜰겁니다

 

 

 

 

 

 

- 로딩이 다 끝나면 hostname과 usernamepassword를 적으라 하는데

 

  원하시는 것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 (password를 짧게하면 use week password? 라며 짧은 비밀번호를 사용할 지 되묻습니다.)

 

- Encrypt your home directory? 

-> 암호를 걸지 말지에 대한 질문인데 No를 해주시면 됩니다.

 

 

 

 

 

그 후 , 아래와 같은 로딩창이 한번 더 뜨게 됩니다.

 

 

 

 

 

 

아까 설정했던 United States가 상관없는게, 여기서 자동으로 Asia/Seoul로 잡아주게 됩니다.

 

 

 

yes를 눌러주시고,

 

로딩창이 또 뜹니다.

 

뒤에 나오는 2번의 선택 창에서 기본으로 설정된대로 2번의 엔터를 더 해주시고

 

 

 

이 화면이 나오면 Yes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 이 가상의 컴퓨터에 할당 해 줄 용량을 선택해주게 되는데, 큰 작업을 하지 않으니

 

있는 그대로 Continue를 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도 Yes를 눌러주시면 로딩창이 뜨게됩니다.

 

 

 

 

 

 

 

 

 

아무것도 기입하지 않고 Continue를 해주시면 됩니다.

 

로딩창이 또 지나가게 되고,

 

뒤에 나오는 모든 것들에게 엔터를 해 줍니다.

 

 

 

 

 

 

 

이창에서도 Yes를 해주시고,

 

로딩 후, 마지막으로 나오는 화면에서 엔터를 눌러주시면 

 

 

 

 

 

 

 

 

이런 화면을 거쳐

 

 

 

 

 

 

 

표시 해 둔곳에 아까 설정한 login과 password를 입력하시고 

 

위와 같은 출력문들이 나오면 성공한겁니다.

 

 

 

 

 

다음번엔 바로 go언어 및 geth 설치 , 구축을 진행하겠습니다

 

 카테고리의 방향은 어떤 블록체인을, 어떻게 제가 공모전에서 사용하였고

 

이를 구축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이나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기술 할 예정입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 개념적인 부분 다른 블로그에 훨씬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

 

 

 

 

블록체인. 최근 1년간 계속 화재거리가 되어 왔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상화폐거래소, 탈중앙화 시스템 등 

 

많은 키워드 또한 화재가 되었습니다.

 

 

 

 

저 또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조금 있던 상태에서 공모전 아이디어를 생각하던 중,

 

블록체인을 활용한다면 좀 더 부각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이를 활용하여 공모전 아이디어를 제출

 

당선되어 프로젝트 진행을 하게 됩니다.

 

 

 

 

블록체인에 대해 알아보던 중, 

 

당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이더리움에서 go언어로 진행중인 

 

geth(go-ethereum) 블록체인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공모전에서 

 

javascript의 web3 API를 사용하여 에서 사용하였고,

 

java에서는 Json rpc로 블록체인에 접근, 사용하였습니다.

 

 

 

 

추후, 이더리움 프라이빗 블록체인 멀티노드 구성 및 

 

웹과 java에서 사용한 것은 추가적으로 올리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