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을 이어서 

 

4편을 진행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은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모바일게임/롤플레잉] - 로그키우기 : 방치형 RPG | 공략 (1편)

[모바일게임/롤플레잉] - 로그키우기 : 방치형 RPG | 공략 (2편)

[모바일게임/롤플레잉] - 로그키우기 : 방치형 RPG | 공략 (3편)

 

 

 

 

 

 

 

 

 

 

 

 

 

잠깐 몇일동안 게임을 안했는데

 

그동안 "추종자"라는게 생겼네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 드리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제가 세팅되어 있는 능력치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만약 디아블로를 해보신 분이시라면 

 

극히 공감하실텐데

 

이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크리티컬 확률"과

 

"크리티컬 데미지"입니다.

 

 

 

 

 

 

 

 

 

 

 

크리티컬 확률은 무조건 100%가 되어야 하며

 

크리티컬 데미지는 그와 비례해서 클수록 데미지가 강해집니다.

 

 

 

 

 

 

 

 

 

 

 

간단하게 산술적으로 계산해봅시다.

 

90%의 크리티컬 확률이 있고

 

1000%의 크리티컬 데미지가 있습니다.

 

보통 10번의 공격당 9번이 크리티컬 공격이 되고

 

1번은 일반 공격이 될 것입니다.

 

데미지가 100이라는 가정하에 계산해보면

 

 

 

( 100 x 1000% x 9 ) + (100 x 100% x 1) = 9,100의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100%의 크리티컬 확률이 있고

 

1000%의 크리티컬 데미지로 계산을 하면

 

 

(100 x 1000% x 10 ) = 10,000의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만약 크리티컬 공격력이 극대화되어 많이 올라가게 된다면

 

 

 

 

 

90%의 확률로 5000%의 데미지를 입히고 들어가는 데미지가 300,000 이라고 가정한다면,

 

( 300,000 x 5000% x 9 ) + (300,000 x 100% x 1 ) = 135,300,000

100%의 확률로 4500%의 데미지를 입히고 들어가는 데미지가 300,000 이라고 가정한다면,

 

(300,000 x 4500% x 10 ) = 150,000,000

 

공격횟수가 10번이라는 가정하에 이렇게 계산이 되는데,

 

초당 공격횟수가 20회라고 가정하면 이의 두배가 되니

 

300,000,000 > 270,600,000

 

크리티컬 확률 10% 때문에 데미지 차이가 나게 되는데

 

생각보다 얼마 안하는 데미지이지만 누적이 된다면

 

어마어마해 질 것입니다.

 

 

 

 

 

 

그리고 이 게임이 

 

크리티컬 확률과 크리티컬 데미지라는 옵션이 들어갔다는 것만으로

 

스킬의 사용으로는 500%, 1000%, 3000% ,6000% 등의 데미지가 들어간다지만

 

한번의 스킬 소모당 들어가는 데미지이며,

 

초당 20의 공격속도를 가졌고 크리티컬데미지가 1500%이라고 가정한다면

 

1초에 3000%가 아닌 30000%의 데미지를 평타로 넣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고로 앞선 스킬 및 유물 설명이 있는 공략을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평타"기반의 스킬과 유물을 추천 했었으며

 

이 또한 크리티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제 캐릭터의 능력치는 이와 같으며

 

(공격력 , 체력 , 초당 체력 회복량)은 아이템과 관련이 있다기보다

 

환생을 통한 강화 수치가 낮아져서 낮음을 말씀 드립니다.)

 

 

 

 

크리티컬 확률은 무조건 100%를 맞춰주시고

 

추가적인 요소는 크리티컬 데미지와 

 

공격속도(초당 공격속도)를 위주로 올리시고

 

 

 

혹여나 더 올릴수도 없고 다른 옵션들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제가 추천드린 유물중에 

 

"최대 마나수 % 1%" 캐릭터 공격력 증가 옵션이 있는 유물이 있는데

 

마나통을 키움과 동시에 (평타기반 캐릭이라 마나가 필요하지는 않음)

 

해당 캐릭터의 공격력의 해당 %만큼 올려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소개해드리면서 같이 공략을 올리는 게임은 Tricky Castle이고

 

정말 단순한 킬링타임용 게임으로 적절합니다.

 

재밌습니다.

 

 

 

 

 


Level 1 ~ 20은 간단해서 바로바로 쉽게 하실 수 있을겁니다.

 

바로 공략 시작하겠습니다.

 

 

 

 

 

 

 

 

 

 

 

 

LV. 20

 

일단 시작은 이런 화면과 같습니다.

 

게임 중간중간 저런 문구들이 나오는데

 

힌트같지도 않게 생겨서는 

 

완전 그냥 답안 그대로를 의미하는 것도 있으므로

 

유심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Nothing special" 

 

뭐 특별한것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길이 막혀있는데 

 

 

 

 

 

 

 

 

 

 

 

 

 

 

 

이렇게 밑쪽으로 가면 길이 하나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 문으로 들어가게 되면

 

 

 

 

 

 

 

 

 

 

 

 

 

이렇게 해당 Level을 클리어 할 수 있는 열쇠가 있는데

 

너무 높이 있어 어떻게 하질 못합니다.

 

다시 되돌아 가봅니다.

 

 

 

 

 

 

 

 

 

 

 

 

 

 

 

그리고 이 펫말로 오시면

 

손 그림이 뜨며 조작이 가능하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조작 후 다시 문을 보면

 

거꾸로 되어 있다는게 보입니다.

 

그리고 다시 이 방으로 들어가주시면

 

 

 

 

 

 

 

 

 

 

 

 

 

 

이처럼 거꾸로 화면이 되어 있고,

 

조작키 또한 거꾸로 움직이니 잘 사용해서 열쇠를 획득하고 

 

다시 돌아가 줍니다.

 

 

 

 

 

 

 

 

 

 

 

 

 

 

 

 

 

문으로 가져가면 해당 Level은 종료됩니다.

 

 

 

 

 

 

 

 

 

 

 

 

 

 

 

 

 

 

LV. 22

 

글자를 먼저 봅시다

 

"RUN" 

 

일단 달리라고 합니다.

 

저기 보이는 가시는

 

달리다보면 그냥 자연스레 통과가 됩니다.

 

 

 

 

 

 

 

 

 

 

 

 

 

 

 

이처럼요

 

 

 

 

 

 

 

 

 

 

 

 

 

 

그리고 벽에 하나 날라오는데

 

피하지말고 달려가주세요

 

계속 ~

 

 

 

 

 

 

 

 

 

 

 

 

 

STOP이라는 문구와 함께 멈추게 되면

 

화살이 위에서 날라오게 됩니다

 

물론 주인공을 뚫고 지나갑니다.

 

 

 

 

 

 

 

고로 계속 달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레버가 보이고

 

상단에 공주(?)가 있는데

 

 

구하지말고 쌩까고 끝까지 가주시면 됩니다.

 

 

 

 

 

 

 

 

 

 

 

 

 

 

 

LV. 23

여기는 따로 글이 있지 않습니다.

 

버튼을 상자를 이용해 누르면 될 것 같죠

 

 

 

 

 

 

 

 

 

 

 

 

 

네, 이처럼 눌러 주시면 가운데 문이 열리면서

 

아래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버튼이 4개가 생성되는데

 

이 또한 상자와 사람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버튼을 누르게 해줍니다.

 

 

 

 

 

 

 

 

 

 

 

 

 

 

 

 

 

이처럼 이동이 되었다면

 

 

 

 

 

 

 

 

 

 

 

 

 

 

저희가 가진 손가락있죠?

 

그 손가락으로 나머지 두개의 버튼들을 눌러줍니다.

 

화면을 터지해주시면 됩니다 !

 

 

 

 

 

 

 

 

 

 

 

 

 

 

 

LV.24

 

"What does this botton do?"

 

버튼이 뭘 하는 버튼인지 물어보네요

 

우리가 알고있니 그걸 ..

 

 

 

 

 

 

 

 

 

 

 

 

 

 

 

 

 

 

눌러주시면 드드르르르르르륵 하는 소리가 납니다.

 

 

 

 

 

 

 

 

 

 

 

 

 

 

 

그리고 해당 문으로 들어가주시면 이렇게 돌이 있습니다.

 

빠르게 지나가지 않으면 원래는 아래의 그림처럼

 

철창이 나오게 되니 빠르게 해주시면 됩니다.

 

 

 

 

 

 

 

 

 

 

이동 하신 후 

 

돌을 아래로 떨어뜨려주세요

 

 

 

 

 

 

 

 

 

 

 

 

그 후 유유히 탈출하시면 됩니다.

 

 

 

 

 

 

 

 

 

 

 

 

 

 

LV. 25

 

"Melt the Ice" 

 

얼음을 녹이라고 합니다.

 

 

 

 

 

 

 

 

 

 

 

 

막 문질러 주세요

 

손가락으로 막 문지르면

 

이처럼 녹아 내립니다.

 

 

 

 

 

 

 

 

 

 

 

그리고 다 녹이지는 마시구

 

얼음을 밟고 박쥐를 잡게

 

이정도쯔음 만하게 녹인 후 

 

움직여서 박쥐를 잡아주세요

 

 

 

 

 

 

추 후 5 Level 씩 포스팅 하겠습니다.

 

 

 

 

 

 

R Language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지난 포스팅을 나열해 드리겠습니다.

[IT/R] - R언어 | Part_1 R 다운로드 및 맛보기

[IT/R] - R언어 | Part_2 차근차근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1

[IT/R] - R언어 | Part_3 차근차근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2

[IT/R] - R언어 | Part_4 차근차근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3

 

 

 

 

 

 

 

인공지능

 

빅데이터

 

머신러닝

 

딥러닝

 

4차 산업혁명

 

 

 

꼬리표를 또 달고

 

R언어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번에는 polygon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려 보겠습니다.



 

 

 

 

 

 

 

polygon은 다각형, 각진 도형을 의미합니다.

 

 

 

 

 

 

 

폴리곤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요

 

 

 

 

 

 

 

 

폴리곤이라 불리는 이 친구도

 

입체 다각형들의 집합입니다.

 

 

 

 

 

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는

 

들의 연결으로 선이 생기는데

 

다른 두 종류의 선 사이를 칠하면

 

다각형의 모양이 나오게 됩니다.

 

 

 

 

 

 

이번에도 demo함수를 사용하여 

 

진행하겠습니다.

 

 

 

 

 

 

 

 

 

아래는 전체 소스코드 입니다.

 

 

par(bg="white") n <- 100 x <- c(0,cumsum(rnorm(n))) y <- c(0,cumsum(rnorm(n))) xx <- c(0:n, n:0) yy <- c(x, rev(y)) plot(xx, yy, type="n", xlab="Time", ylab="Distance") polygon(xx, yy, col="gray") title("Distance Between Brownian Motions")

 

이번에도 한줄씩 한줄씩

 

실행을 해 보시고

 

어떤 순서로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par(bg="white")

 

 

먼저 배경색을 흰색으로 만들어 줍니다.

 

 

 

 

 

 

 

n <- 100

 

 

n에 100을 저장해 주고,

 

 

 

 

 

 

 

x <- c(0,cumsum(rnorm(n)))

 

n(100)개의 정규분포 난수를 생성하여 (참조 :[IT/R] - R언어 | Part_2 차근차근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1)

누적합을 x에 넣어줍니다.

 

 

 

 

 

 

cumsum은 누적합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0이 들어가는 이유는

 

첫번째 인자부터 

 

더해진 값이 들어가기 때문에 넣습니다.

 

 

 

 

 

 

예를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qq에 1 2 3 4 5 를 넣고

 

cumsum (누적합)을 해 주시면

 

1 3 6 10 15의 값이 나온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에 0을 넣어 0 1 3 6 10 15 순서로

 

배열을 넣어주었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y <- c(0,cumsum(rnorm(n)))

 

이전과 똑같이 정규분포 난수의 누적합을 y에 넣어줍니다.

 

 

 

 

 

 

 

 

xx <- c(0:n, n:0)

 

xx에 0부터 n까지(100), 

 

그리고 n(100)부터 0까지의 배열을 

 

넣어줍니다.

 

 

 

 

 

 

 

 

 

 

 

yy <- c(x, rev(y))

 

y값 배열의 역순을 yy에 저장해 줍니다.

 

rev는 reverse의 약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배열의 순서가 역순으로 됩니다.

 

 

 

 

 

 

 

 

plot(xx, yy, type="n", xlab="Time", ylab="Distance")

 

x,y축으로 이루어진 그래프를 만듭니다.

type="n"이므로 좌표를 찍지 않고 (참고 :[IT/R] - R언어 | Part_2 차근차근 그래픽 예제 뜯어보기 1)

 

x축과 y축의 제목을 넣어줍니다.

 

 

 

 

 

 

 

polygon(xx, yy, col="gray")

 

xx와 yy값의 좌표를 가지고 polygon. 즉 다각형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col처럼 여기도 다양한 옵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x, y -> 좌표

 

col -> 색상

 

lty -> 선 종류

 

lwd -> 선 굵기

 

density -> 선의 밀도

 

angle -> 선의 기울기

 

 

 

 

 

 

 

title("Distance Between Brownian Motions")

 

 

제목을 넣어줌으로 그래프를 완성합니다.

 

 

 

 

 

 

 

 

 

 

곧이어 다음 포스팅에서는 

 

가로 막대 그래프를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